기존 정당을 위협하는 강력한 제3신당이 출현하지 않는다면 내년 총선은 여야 맞대결이라는 기존 구도로 치러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 원장이 직접 나서지 않더라도 간접적으로 총선에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여야 정당들은 안 원장의 움직임을 계속 주목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안 원장이 신당 창당이나 본인의 출마를 통해 총선에 개입하지는 않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한나라당의 경쟁상대는 기존의 야권으로 좁혀졌다.
지난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안 원장이 박원순 야권 통합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한 것이 한나라당의 패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야권 성향의 안 원장이 총선 때 전면에 나서지 않는 것이 한나라당에 유리하다는 진단이다.
그러나 안 원장이 직접 나서지 않더라도 특정 후보에 대한 간접 지원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득실을 따지기 어렵다는 지적도 적지않다.
한 쇄신파 의원은 “안 원장이 신당을 창당하지 않더라도 도움을 주고 싶은 후보를 지원하면서 총선 결과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안 원장이 무서운 것은 정치권 밖에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안 원장이 당장 정치세력화에 나설 의향이 없다는 점을 밝힌 것도 한나라당의 총선 전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안 원장이 '신비주의 전략'을 계속 유지하면 당내 유력 대선후보인 박근혜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기에 부담을 느낄 가능성이 크다.
친박계 윤상현 의원이 지난달 30일 쇄신연찬회에서 “안 원장이 정치판에서 아웃복싱을 하는 상황에서 박 전 대표가 조기 등판해 인파이팅하는 것은 시기적ㆍ내용적으로 적절치 않다”고 주장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이렇게 되면 기존 '홍준표 대표 체제’로 내년 총선을 치르게 될 가능성이 커지고 이는 쇄신파들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
'안철수 신당' 변수가 사라진 야권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야권통합 구도가 총선 구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민주 진영과 진보 진영으로 양분된 야권통합 흐름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야권은 '쌍두마차' 체제로 총선을 맞게 된다.
민주당ㆍ혁신과통합 중심의 '민주진보통합정당'(가칭), 민주노동당ㆍ국민참여당ㆍ통합연대가 합친 '진보통합정당'(가칭)이 그들이다.
노회찬 심상정 조승수 전 대표가 한꺼번에 탈당한 진보신당은 사회당 등과 통합을 모색하고 있으나 두 신생정당에 비해 파급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평가다.
두 신생정당은 야권 연대, 즉 후보단일화를 통해 한나라당과 '1대1'로 맞대결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총선을 앞두고 야권의 두 정당간 힘겨루기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노당과 참여당의 결합으로 대중성이 확대된 진보 진영의 확장력이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민주당과 혁신과통합 등 시민사회 세력이 합치는 민주 진영의 경우는 인적 쇄신 여부가 국민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관건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야권은 안 원장이 신당을 창당하지 않더라도 총선에서 나름의 역할을 할 것으로 봤다. 그가 지난 9월 “한나라당의 확장성을 경계한다”고 한 데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대항마라는 점에서 야당에 힘을 실어주지 않겠느냐는 분석이다.
민주당 이용섭 대변인은 “안 원장이 내년 총선 전까지는 안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면서 “그러나 정권 교체라는 시대적 요구를 위해 안 원장이 통합정당에 들어와서 힘을 모으는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