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는 이날 20여개 관계 부처와 기관의 고위급 관계자가 참석한 ‘KSP 추진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추진체계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우선 KSP를 범부처 정책자문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문성을 보유한 각 부처와 기관의 사업 참여를 대폭 확대하고, 다른 공적개발원조(ODA) 사업과의 연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KSP 사업 가운데 정책자문사업의 협력 대상국을 올해 26개국에서 내년 30여개국으로 늘리기로 했다.
특히 협력 대상국의 경제개발계획, 신도시, 인프라 등 분야별 계획을 직접 수립해 제공하는 방식의 마스터플랜 제도를 신설해 경제․사회 시스템의 재건이 필요한 중동․아프리카 국가에 맞춤형 지원을 할 계획이다.
국제기구와 함께 진행하는 공동컨설팅 사업은 올해 10건에서 내년에 15건 내외로 확대하고, 공동컨설팅 사업은 전자정부, 녹색사업 등 우리나라가 비교우위가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재정부는 “협의회에서 제기된 의견들을 적극 반영해 내년도 KSP 사업계획을 확정짓고, 범부처 사업으로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