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롯데마트가 올해 들어 11월까지 연간 축산물 매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고기 매출이 돼지고기를 역전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소고기는 2000년 국내산 육류 매출 가운데 59.3%를 차지하면 선두에 섰던 이후 매년 비중이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2009년에는 최저 수준인 30.7%를 기록했고, 2010년 31.2%에 그쳤다.
이에 반해 돼지고기는 2003년 소고기 매출을 뛰어넘은 뒤 작년까지 국내산 육류 매출의 50%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소고기 매출비중을 51.4%로 급증하며 돼지고기 매출을 앞질렀다. 더불어 2000년 이후 처음으로 50% 이상 점유율을 회복했다.
롯데마트 측은 소고기와 돼지고기 매출 역전 현상의 원인이 작년부터 올 초까지 지속된 구제역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구제역 여파로 돼지는 300만마리 가량 살처분돼 사육두수가 작년보다 20% 줄어 가격이 급등했다.
반면 소는 돼지의 5% 수준인 15만마리가 살처분돼 상대적으로 피해가 덜했다. 또 농가가 작년대비 20% 가량 사육두수를 늘려 소고기 가격이 떨어졌다.
게다가 갈치·고등어 등 주요 수산물 어획량이 이상기온으로 감소하며 가격이 증가했고 일부 소고기 구매로 이어졌다.
롯데마트에 따르면 올해 한우 등심 평균 소비자 판매가는 7200원으로 작년 8500원보다 15% 정도 낮아졌다. 특히 7~9월 3개월 동안은 전년 같은 때보다 30%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냉장 삼겹살은 올해 평균 소비자가가 2420원을 기록, 전년 2040원보다 18% 올랐다. 삼겹살 최대 성수기인 7~8월에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급증했다.
또한 국내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하고 25% 관세가 철폐되면서 수입 돼지고기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올해 수입 축산물 매출 비중은 14.6%로 2001년 이후 10년만에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롯데마트는 구제역 여파가 종료되는 내년 중순 돼지고기 물량 수급이 안정화면서 가격이 하락하면 이 같은 상황이 재역전 될 수도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이권재 축산팀장은 “구제역 영향으로 10년 만에 돼지고기와 소고기 매출이 역전됐다”며 “향후 다양한 마케팅과 저가 판매기회를 통해 국내 축산물 소비촉진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한편 롯데마트는 이달 6일까지 단계별로 한우·브랜드 돼지고기·양념육을 최대 50% 가량 저렴하게 판매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