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비롯해 최근 몇 년간 공급 부족현상을 빚었던 광주, 대전 등은 수요자들의 매수열기가 이어지며 분양시장도 활기를 띠고 있다.
4일 국민은행이 발표한 전국 주택 매매가격 증감률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부산의 집값(아파트·단독·연립 포함)은 작년 말 대비 16.3% 올랐다.
이는 지난 1988년 19.7%와 1990년 28.3%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높은 수치다.
광주는 18.2 상승해 1998년(26.6%) 이후 2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대전(14.9%) 역대 2번째로 집값이 많이 올랐다. 목포(17.1%)와 창원(21.0%)은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고 상승폭을 보였다.
부산은 분양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지난달 부산 해운대구에 공급한 ‘래미안해운대’는 일반 분양에서 평균 81.5대 1, 최고 252대 1의 경쟁률로 올해 전국 청약경쟁률 최고 기록을 세웠다.
쌍용건설이 부산 수영구 광안동에 분양한 ‘광안동 쌍용 예가 디오션’도 평균 56대 1의 경쟁률로 1순위 마감됐다.
이와 같은 지방 부동산시장 열기에 대해 부동산업계와 전문가들은 최근 수년과 지방의 1~2인가구가 늘면서 주택 수요는 커졌는데 공급이 이뤄지지 않아 수급불균형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면서 부산(14.9%), 광주(18.4%), 울산(13.5%) 등의 전셋값도 크게 올랐다.
반면 서울·수도권 주택가격은 11월 들어 각각 전월 대비 0.1% 떨어지면서 4개월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