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통합협상위원회는 7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통합 방안을 의결했다고 협상대표단 단장인 조정식 의원이 밝혔다.
민주당 손학규 대표와 정세균 최고위원은 오후 통합 대상인 '혁신과통합' 문재인·이해찬·이용선·문성근 상임대표를 만나 이런 내용을 전달하고 협의키로 했다.
민주당은 지도부 선출 방식과 관련해 선거인단을 '대의원 30%, 당원ㆍ시민 70%'로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의원 선거인단은 민주당과 시민통합당의 대의원을 동수로 구성하고, 민주당의 당비당원 12만명은 별도의 선거인단 신청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선거인단에 포함시키는 방안이 유력하다.
시민이 선거인단에 등록할 경우 약식으로라도 당원에 가입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이른바 '임시당원' 제도는 시민통합당의 반대를 감안해 도입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조 의원은 “선거인단 비율을 2 대 8로 할지, 3 대 7로 할지는 지금 명시할 것이 아니다”며 “3분의 1(33.3%) 범위 내에서 협상할 수 있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이야기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통합정당의 당명을 공모절차와 국민의견을 수렴해 합당 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결정하되 약칭을 '민주당'으로 하기로 했다.
19대 총선 지역구 후보자 공천은 완전개방 시민경선을 원칙으로 하기로 했다.
최고위원회는 선출직 6명, 지명직 3명, 당연직 2명으로 하되 지명직에는 노동계 1명을 배정하고 여성ㆍ지역을 고려할 방침이다.
또 청년의 정치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당연직 최고위원회에 청년 대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비례대표 등에도 배려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