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대표와 박 전 원내대표는 이날 낮 여의도 한 식당에서 오찬회동을 가졌으나 통합정당 지도부 선출 방법을 둘러싼 이견을 조율하는 데 실패했다.
손 대표는 “통합전대 경선룰에 합의하고 오는 11일 전대를 잘 치르자”고 당부했으나 유력한 차기 당권주자인 박 전 원내대표는 “나의 길을 가겠다”며 거부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회동 이후 “지난달 27일 손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전당대회에 관한 내용은 반드시 합의처리하기로 했는데 (경선룰이) 손 대표 측과 '혁신과통합'이 밀실에서 합의한 내용대로 가고 있다”며 “오찬에서 이런 것을 지적하면서 결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경선룰은) 나와 합의한 것도 아니고 만장일치도 아니다”며 “내가 왜 들러리를 서고 이대로 있느냐. 손 대표가 추진하는 대로 잘하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날 시민통합당과 지도부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을 '대의원 30%, 당원ㆍ시민 70%'로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이날 입장자료를 내고 “오는 11일 통합을 위한 전대를 성공적으로 치러라. 전대의 결정을 따르겠다”고 했으나, '전대 보이콧'의 가능성을 남겨둔 것으로 해석된다.
호남지역 영향력을 감안할 때 그의 협조 없이 전대에서 통합 안건을 의결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게 손 대표 측의 고민이다.
전대에서 통합 안건을 처리하려면 전체 대의원 1만2000명 중 절반인 6000명이 출석해야 한다. 만약 전대가 무산되면 통합은 요원해진다.
손 대표 측은 “합의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했으나 '주류연합군'으로 불릴 만큼 탄탄한 공조를 과시했던 두 사람의 밀월은 이미 끝났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손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하면서 '내 몫이 70%이고 상대가 30%라도 내 몫 70%를 내주고 30%만 갖는다는 자세로 통합을 이뤄내야 한다'는 김 전 대통령의 유지를 가슴에 새기며 통합 의지를 다짐했다”고 소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