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191만194명을 대상으로 ‘2005년 한국인 성인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평가한 결과 직접비 1조770억원, 간접비 7152억원 등 총 1조7922억원에 달했다고 12일 밝혔다.
1998년에 비해 4.2배 증가한 수치다.
올해의 경우 의료비 상승과 비만 인구의 꾸준한 증가 등에 따라 3조4000억원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연구팀은 추산했다.
2005년도에 소요되는 비용 1조7922억원은 전체 국민 의료비의 3.7%(직접비 2.2%, 간접비 1.5%), 국내총생산(GDP)의 0.22% (직접비 0.13%, 간접비 0.09%)에 해당했다.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가장 큰 질병은 당뇨병으로 5958억원이었으며, 이어 고혈압 5506억원, 뇌졸중 2322억원, 허혈성심장질환 1825억원 순이었다.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예방와 치료를 목적으로 입원, 외래 방문, 투약, 검진 등을 하는데 소요되는 직접비용, 질병으로 인해 줄어드는 생산성을 수치화 한 간접비용 등으로 나뉜다.
강 교수는 “비만으로 인한 직접비가 미국을 제외한 서구 선진국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고 “이번 연구에서 자료 부족 등으로 비만 관련 질환을 모두 포함시키지 못해 사회경제적 비용이 저평가됐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비만 예방·치료를 위한 공중보건학적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