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주요 사업에산을 회계연도 개시 전에 배정, 공기업의 선투자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부문별 취약요인 방어를 위해 가계부채를 경제규모보다 빠르게 늘지 않도록 관리하기로 했다. 전체 대출에서 장기·고정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오는 2016년말까지 30% 목표까지 늘리기로 했다.
특히 제2금융권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강화하고, 직불형 카드 등에 대한 소득공제 우대를 검토하기로 했다. 또 은행의 장기자금조달 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와 한국은행 출자로 주택금융공사 자본금을 확충하고 필요시에는 커버드본드(은행 등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주택담보대출채권을 담보로 발행하는 유동화 채권) 법제화를 검토키로 했다.
기업부문에서는 구조조정기업에 대한 세제지원과 패스트트랙 프로그램을 연장해 주고, 신보와 기보 등 보증제도가 개선된다.
금융 부문에서는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의 건전성 감독 강화, 임원 보수의 투명성 제고로 위기대응 능력을 키운다. 외국인 증권투자 계정을 주식·채권 등 투자대상별로 세분화하는 등 모니터링 체계가 개선된다. 외환 변동성 관리를 위해 도입된 3단계 자본유출입 변동성 완화제도도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2013년 균형재정 달성 목표를 이루기 위해 복지 등 비건설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실시 △경기조정재정지수 도입 △공공기관의 사업별 구분회계·반기별 결산 공시 등 재정총량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