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 '자살유도' 핵심 단백질 발견..치료제 개발 새 전기

  • - 신개념 항암제 개발 가능성 열어

백성희 서울대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암세포의 사멸을 촉진, 암 발생을 억제하는 새로운 작동 경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돼 암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전기가 될 전망이다.

세포 사멸은 세포가 유전자에 의해 제어돼 죽는 방식의 한 형태로 세포가 스스로 죽어서 없어지는 것을 말한다.

12일 교육과학기술부는 백성희 교수 연구팀이 DNA가 손상된 상황에서 RORα(알오알 알파)단백질의 발현이 유도되면, 암 억제 기능을 가진 p53 단백질을 안정화시켜 궁극적으로 암 발생을 억제한다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밝혔다.

p53 암억제 유전자는 세포 사멸을 촉진해 암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DNA 손상 신호에 의해 RORα 단백질의 발현이 늘어나면, p53의 탈유비퀴틴화(유비퀴틴을 떼어내는 효소에 의해 분해를 억제함)를 촉진해 p53을 안정화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

백 교수팀은 유전체 분석을 통해 RORα 단백질은 일련의 p53 타깃 유전자들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유전자들이 세포 사멸에 관련한 것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는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적 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전문지인 셀(Cell)의 자매지 ‘몰레큘라 셀(Molecular Cell)’9일자(현지시간)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