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원내대표단이 지난 9일부터 소속 의원들을 상대로 등원 여부와 시기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대다수 의원들이 등원을 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등원 시기로는 12일 내지 19일을 꼽은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현재 소속 의원 가운데 절반에 대해 설문조사를 마친 상태다.
민주당은 당초 12일 오전 설문조사를 마치고 의총을 열어 등원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었으나 야권통합 정국으로 설문조사가 지연되자 의총을 14일로 연기했다.
민주당내 등원 기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데에는 내년도 예산안 처리를 비롯해 정개특위의 선거구획정 등 시급한 현안이 산적해 현실을 등한시 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특히 반값등록금, 무상급식, 청년 일자리 등 복지 예산을 놓고 한나라당과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등원거부는 예산안 단독 처리의 빌미를 줄 수 있다는 판단이다.
여기에는 야권통합과 한나라당 쇄신풍,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 공격 파문 등으로 한미FTA에 대한 관심이 약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등원거부로 얻을 수 있는 실익이 거의 없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당내 한미FT무효화투쟁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동영 최고위원 등 강경파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진통이 예상된다.
강경파들은 지난 9일 의원총회에서 김진표 원내대표와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의 임시국회 등원 합의를 '백기투항'이라고 규정하며 원내지도부를 정면으로 공격했다.
이들은 특히 14일 열리는 의총에서도 등원거부 입장을 굽히지 않을 계획이어서 강ㆍ온건파의 충돌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