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쇄신파와 친이 들의 목소리가 시간이 갈수록 거세지면서 당내 친박(親朴) vs 반박(反朴) 구도가 더 공고해 지는 모습이다.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한 중진에서는 빠른 시일 내에 ‘박근혜 체제’로 정비해 당의 위기를 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반면 쇄신파와 초재선 의원들 사이에서는 완전한 재창당을 위해 전당대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특히 쇄신파를 중심으로 한 친이(친이명박)계 들의 전대개최 요구가 강하게 이어지는 가운데 박근혜 전 대표가 스스로 비대위원장을 맡아 내년 총선 전까지 당을 진두지휘하겠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당내 논란이 쉽게 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12일 의원총회를 열고‘박근혜 체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으나 박 전 대표에 당의 전권을 위임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앞서 이날 오전에는 3선 이상의 중진 의원들은 조찬회동과 당사에서 간담회를 잇달아 열고 박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상대책기구 설립에 대해 의견을 함께했다.
친박계 중진인 홍사덕 의원이 제안해 이뤄진 이날 모임에서는 앞으로 구성될 비대위가 당 최고위원의 권한을 위임받을 수 있도록 당헌 당규를 개정하고 박 전 대표가 그 중심에서 전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이날 모임에 참석한 황영철 원내대변인은 “현재의 비상체제 하에서는 박 전 대표가 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주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회의에서 있었다”고 말했다.
친박계이자 전국위원회 의장인 김학송 의원 역시 이날 비대위 구성과 권한 등에 대한 당헌 당규 개정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며 “(당헌 당규 개정안에)비대위원장에 당 대표 권한을 준다는 것까지 담겨야 한다. 그래야 당 대표를 겸한 비대위원장이 내년 공천장을 줄 수 있다”고 친박계 주장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친이계를 포함한 당 쇄신파들 역시 이날 오전 회동을 통해 ‘재창당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를 주장하며 박 전 대표에게 즉각적인 당의 전권을 위임해야 한다며 정면으로 맞섰다.
남경필 원희룡 임해규 정두언 구상찬 권영진 김성식 김세연 정태근 주광덕 황영철 의원 등이 참석한 이날 모임에서 이들은 성명을 통해 “국민이 한나라당에 요구하는 것은 총선과 대선을 이기기 위한 ‘옷갈아 입기식의 리모델링’이 아니다”며 친박계의 주장을 비판했다.
정두언 의원은 “홍준표에서 박근혜로 지휘권을 바꾸는 것은 신당 수준의 재창당을 하자는 것이지 얼굴만 바꾸자는 것은 아니다”며 “지금 박 전 대표 주변에서 재창당 같은 변화를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법적인 문제를 제기하며 현상유지를 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박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고 당의 전권을 위임하는 문제는 내년 총선의 공천권 문제와 직결 된 만큼 향후 이를 둘러싼 계파 간 갈등은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