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부실채권정리기금 청산 '박차'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내년부터 부실채권정리기금 청산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지난 14일 저녁 장영철 캠코 사장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부실채권정리기금 시한이 내년 11월 종료됨에 따라 기한 내 기금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차질없이 정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해 6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기금 청산의 법령상 시한은 내년 11월 22일까지다.

이에 따라 캠코는 일정시점을 기준으로 집합화해 부실채권의 일괄매각을 추진키로 했다.

부실채권정리기금은 외환위기 당시인 지는 1997년 11월,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39조2000억원의 재원으로 조성됐다.

지난 11월말까지 현재 45조7000억원을 회수했으며, 추가로 캠코가 정리해야 할 기금 보유 자산 매입액은 7조7000억원이다.

쌍용건설의 경우 올해말 매각공고를 거쳐 내년 3분기 내 매각 완료를 목표로 내걸었다. 매각주간사는 언스트앤영-신한금융투자로 이미 지난 7월말 선정된 상태다.

장 사장은 “쌍용건설은 지난해 사상 최초로 2조2000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하는 등 우량건설사 중 유일하게 M&A 시장에 나온 물건이므로 건설업 진출이나 해외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인수 참여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단독매각을 위해 다음달까지 주간사를 선정할 예정이며, 교보생명도 이달 중으로 주간사를 선정해 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을 추진한다.

캠코 보유지분이 57.4%로 가장 많은 대우일렉트로닉스도 내년에 적정시점을 기해 채권단 보유 주식 및 채권을 대상으로 재매각을 추진한다. 앞서 대우일렉은 이란기업인 엔텍합과의 협상이 무산됐다.

캠코는 운용기한 내 매각하지 못한 잔여재산은 출연기관에 현물로 반환하거나 유동화 등 증권화하는 방안을 병행 추진키로 했다.

또한 캠코는 현재 공사회계로 기업부실채권을 포함한 부실자산을 인수할 수 있도록 공사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내년에 구조조정기금 운용계획상 정부의 지급보증 기금채 발행이 중단돼, 저축은행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및 기업부실채권 인수를 위한 재원이 부족해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캠코는 정부의 공공기관 선진화 계획에 따라 매각이 부진한 공공기관의 출자지분과 유휴재산의 매각업무를 수행한다.

총 18개사의 출자지분은 주무부처 기준으로 3개 풀(Pool)로 구성해, 각 풀별로 매각주관사를 선정하고 주식가치 평가 후 인수·합병(M&A) 방식으로 매각한다. 5개사의 유휴재산 8건은 감정평가 후 공매 방식으로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다.

장 사장은 "지난 1년간 '나라를 튼튼하게 서민을 행복하게'라는 슬로건을 지키려 노력해왔다"며 "명실상부한 '국가자산 종합관리기관'으로서 업무를 차질없이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