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국토해양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국에서 건설 인·허가를 받은 주택은 총 29만9252가구로 월 평균 3만3000여구에 이른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16만3294가구, 2009년의 17만8093가구보다 각각 45%, 40% 늘어난 것이다. 또한 주택 시장이 호황기를 누리던 지난 2002년과 2003년 연간 60만 가구를 공급한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치상으로는 올해 주택 시장이 완전히 회복세를 보인 셈이다.
하지만 올해 주택 인·허가가 급증한 이면에는 도시형 생활주택이 자리잡고 있다. 정부가 규제를 대폭 완화하면서까지 공급을 장려한 도시형 생활주택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인·허가 물량이 급증하기 시작해 올해들어 매월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올해 1~9월 인·허가된 도시형 생활주택은 총 5만595가구. 2009년 처음 도입돼 1688가구에 불과하던 것이 작년에 2만529가구로 늘어난 이후, 올해는 벌써 작년 전체 실적의 2배를 이미 넘어선 것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이 크게 늘면서 전체 주택 물량은 늘었지만, 주택 건설 경기는 침체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주택건설투자와 주택건설기성 등은 여전히 불황 국면을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주택건설투자는 올해 1분기 24.0%, 2분기 18.9% 감소했다. 주택건설기성도 지난 7월과 8월 각각 전년 동월 대비 20.7%, 17.8% 줄었다.
특히 주택 경기가 살아난 지방과는 달리 수도권은 지난 3분기 주택 착공 면적이 지난 해 같은 기간 대비 9.7% 줄었고, 분양도 29.7% 감소하는 등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올해 공급된 주택 중 도시형 생활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17%에 이르지만 대부분 원룸형이어서 규모가 작고 건축비도 적게 든다"며 "이에 따라 주택 인·허가 증가에는 큰 영향을 미쳤지만 주택 건설 경기 회복에는 도움이 별로 안됐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그러나 최근 부동산시장 일부에서 주택경기가 이미 바닦을 쳤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다 정부가 내놓은 12·7 부동산 활성화 대책의 후속 작업이 기시화할 경우 내년에는 부동산 경기가 전반적으로 상승기류를 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