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18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에서 위안부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하라고 요구했다. 양국관계가 미래지향적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서라도 일본이 결단해야 한다는 식의 ’작심 발언‘이었다.
청와대 참모들도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통한 위안부 문제 제기를 실무적으로 준비해오긴 했지만, 이 대통령이 이같이 강력한 수준의 문제 제기를 하리라고는 예상치 못했다는 반응이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발언의 대부분을 위안부 문제에 할애했고, 이 때문에 1시간 정도 진행된 이날 회담은 시종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 진행됐다고 한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대통령은 의미 있는 발언의 90% 정도를 위안부 문제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한일 양국간 과거사 문제, 특히 위안부 보상 문제를 해결하는 것만이 양국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한 첫 단추가 될 것이라는 이 대통령의 인식이 깔려 있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이 대통령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선결조건으로 내세움에 따라 향후 양국 관계에는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우선 일본은 주한 일본대사관 근처에 건립된 평화비 철거 문제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 해결 없이는 연쇄적으로 평화비가 건립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한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재개도 힘들 것으로 보인다. 노다 총리는 회담에서 FTA 체결 협상 논의 재개, 군수 협력 등을 요구했지만 이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사실상 반대 입장을 보였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다시 접근해야 할 것”이라며 “이 문제가 걸림돌이 된다면 향후 양국관계는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