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매체는 ‘전체 당원과 인민군 장병과 인민에게 고함’이란 제목의 발표문에서 “김정일 동지께서 주체 100(2011)년 12월17일 8시30분에 현지지도의 길에서 급병으로 서거했다”고 전했다.
또 “우리는 김정은 동지의 영도따라 슬픔을 힘과 용기로 바꾸어 오늘의 난국을 이겨내 주체혁명의 위대한 새 승리를 위하여 더욱 억세게 투쟁해나가야 한다”고 밝혀 앞으로 권력공백을 후계자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이어 나갈 것임을 시사했다.
북한은 당 중앙위원회, 당 중앙군사위원회, 국방위원회,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내각 공동명의로 발표문을 발표했다.
이어 “18일에 진행된 병리해부검사에서는 질병의 진단이 완전히 확정됐다”고 밝혔다.
북한은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등을 포함해 232명으로 장의위원회를 구성했으나 북한 매체는 김정은의 이름을 제일 먼저 올려 사실상 위원장 역할을 할 것임을 내비췄다.
장의위는 공보를 통해 김 위원장의 시신을 금수산기념궁전에 안치하고 28일 평양에서 영결식을 개최하며 오는 29일까지를 애도기간으로 정하고, 중앙추도대회는 29일 개최할 계획이지만 “외국의 조의대표단은 받지 않기로 한다”고 알렸다.
또 “애도기간에 전국의 모든 기관,기업소들에서 조의행사를 진행하며 평양시에서 중앙추도대회가 진행되는 시간에 각 도, 시, 군에서 추도식을 진행한다”면서 “애도기간에 기관, 기업소에서는 조기를 띄우며 일체 가무와 유희, 오락을 하지 않도록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