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김정일 사망> 전국 비상경계 태세 돌입…"북 특이동향 아직 없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2-19 13: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정일 사망> 전국 비상경계 태세 돌입…"북 특이동향 아직 없다"

사진은 지난 9월9일 정권수립 63주년을 맞아 김정일 국방위원장(맨 오른쪽)이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열병식을 관람하고 있다. [출처=신화사]

(아주경제 김진영 기자) 군 당국은 19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에 만일에 사태를 대비해 전국 비상경계태세에 돌입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김정일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위기조치반 및 작전부서 관계자들을 긴급 소집해 경계태세 강화 방안을 논의한 뒤 전군에 비상경계태세 강화조치를 하달했다.

군은 전방지역에 RF-4C 정찰기 등 대북정찰 자산을 늘려 대북감시태세를 강화하고, 미군의 협조를 받아 휴전선 상공에서 이루어지는 U2 정찰기 활동과 인공위성 첩보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미는 대북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도 3단계에서 2단계로 북방방어 준비태세인 '데프콘'을 현재 4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하고 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워치콘'이 격상되면 U2기와 P-3C기 등 정보수집기의 비행횟수가 늘어나고 정보분석 요원도 대폭 증원되는 등 대북 정보수집 및 경계활동 수준이 현격하게 높아진다.

합참은 북한군의 비무장지대(DMZ)와 판문점공동경비구역(JSA), 서해 북방한계선(NLL) 지역에서의 도발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강력히 대응하기 위한 군사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합참은 주한미군 측과 협의해 U-2 고공정찰기와 KH-11 첩보위성의 대북 정찰횟수를 증강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정보분석 요원을 대거 증강해 북한의 도발 징후 파악과 분석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북한이 내부 결속을 위해 모종의 도발을 감행할 경우 우리 군은 즉각적으로 강력하고 단호하게 응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군 관계자는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 동향은 없으나 관련 움직임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며 "북한군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