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김정일 사망> 금융권, 대책 마련 비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2-19 16:3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19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에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친 가운데 각 금융권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금융시장특별점검 태스크포스(TF)를 열어 향후 대책을 논의했다. 회의를 주관한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벌써부터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발표로 주가가 크게 하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높아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 문제가 국내 경제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우려가 있다”며 “이럴 때일수록 금융당국이 확고한 중심을 갖고 차분하고 신속히 대응한다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채권, 주식, 외환, 외국인 역외 자금 유출입 등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과 파급효과를 철저히 살피겠다”며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유관기관과 핫라인을 구축해 긴밀히 협력하고 상황 변화에 대처해 컨틴전시 플랜(비상상황계획)도 철저히 보완하겠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이에 따라 추경호 금융위 부위원장을 팀장으로 하는 합동 비상금융상황 대응팀과 비상금융 통합상황실을 구성해 시장 상황을 24시간 살피면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곧바로 강력히 대응하기로 했다.

한국은행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해, 비상대책반을 24시간 가동키로 했다. 이날 오후 김중수 한은 총재 주재로 열린 긴급 고위 간부회의에서는 주식·채권·외환 등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을 긴급 점검했다.

김 총재는 회의에서 “북한 사태와 관련해 금융시장 안정, 국민의 안위뿐 아니라 이번 사태가 대외적으로 미칠 파장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개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그는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따른 생각과 과제가 있으니 이를 바탕으로 회의를 진행하겠다”며 “대통령이 전 공무원에 비상근무령을 지시한 만큼 한은도 이에 준해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이날 회의를 통해 비상대책반을 국외사무소와 연계해 24시간 가동하기로 했다. 여기서 국내외 시장상황 등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부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의를 거쳐 공동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한은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한은 본부와 각 지역본부 등 주요 시설물의 보안과 안전관리에 철저를 기하기로 했다“며 ”이번 사태가 미칠 대외 파장을 면밀히 점검하고, 국제적(주요국 중앙은행 및 국제기구)으로도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등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