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원내대표는 20일 국회에서 열린 당 첫 원내대책회의에서 “도대체 국정원이 북한 방송을 듣고서야 사망 사실을 알았다면, 그런 국정원을 위해서 왜 그렇게 막대한 예산 지출을 해야 하는지 국민이 답답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급서한 날 이명박 대통령은 일본에 있었고 어제는 청와대에서 이 대통령 생일 파티를 직원들이 했다”며 “김관진 국방장관은 (외부에 있다) 허겁지겁 달려갔고 통일부, 외교부 당국자도 전혀 몰랐다가 허둥댔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지금이라도 정부 당국은 국민의 불안을 해소할 대책과 새로 들어설 북한 지도체제에 대한 면밀한 정보 분석에 착수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영선 정책위의장은 “국정원, 기무사 등이 예산의 대부분을 북한 정부 수집에 쓰면서 무슨 일을 하는지 국민이 답답해하고 혀를 차고 있다”며 “지난해 날치기 처리된 정보 라인 예산의 용처에 대한 철저한 심사와 감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김 위원장의 사망을 계기로 중단된 남북대화를 재개하고 대북정책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며 “당의 관련 비대위를 중심으로 한반도 정세에 예상치 못한 악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와 초당적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정일 사망이라는 긴박한 상황 때문에 국회에서 관련 상임위가 열리지만 투자자국가소송제(ISD) 재협상 촉구 결의안 채택, 선관위 디도스 테러 등 긴급현안질의 실시라는 국회정상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며 한나라당에 대해 국회 정상화를 위한 8개 요구안 수용을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