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김정일 벽화 앞에서 애도… 기념비·혁명사적관 등 몰려

  • <김정일 사망> 김정일 벽화 앞에서 애도… 기념비·혁명사적관 등 몰려

(아주경제 김선향 기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사실이 발표된 19일 조선중앙TV는 북한 주민들이 김 위원장을 애도하기 위해 김일성 동상과 김정일 벽화를 찾는 영상을 공개했다.

북한 주민들이 김 위원장을 애도하는데 김일성 동상을 찾는 것은 김 위원장 동상이 몇 개밖에 없고, 그나마 일반인은 김 위원장 동상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게 탈북자와 대북소식통의 설명이다.

실제로 평양과 각 도 소재지를 비롯한 북한 전역에 수백 개의 동상이 세워진 김일성 주석과는 달리 김 위원장의 동상은 전국적으로 2∼3개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소식통은 20일 "김정일 동상은 국가안전보위부 본청사 내부와 인민무력부 사적관 등 일반인이 출입할 수 없는 곳에만 건립돼 있다"며 "국가보위부원들과 인민무력부 고위 군관(장교) 정도만 김정일 동상에 가서 애도나 추모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김정일의 동상은 없지만 최근 몇 년간 각 기관, 기업소, 도·시·군청 소재지에 김일성과 김정일을 형상화한 모자이크 벽화들이 경쟁적으로 세워졌다"며 "김정일의 모습이 그려진 벽화를 찾아 애도·추모하는 주민도 많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평양시내에는 평양제1백화점 근처, 광복거리를 비롯한 번화가와 만수대창작사 앞마당 등에 김일성·김정일의 대형 벽화가 설치돼 있다. 많은 평양시민이 이런 대형벽화를 찾아 김정일을 애도·추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벽화 외에 현지지도 기념비, 혁명사적관도 주민들이 애도장소로 많이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김일성 주석과 김 위원장이 다녀간 적이 있는 주요 기관, 기업소, 대학교 등에서는 최근 10년간 '3대 장군(김일성·김정일·김정숙) 현지지도 기념비'를 경쟁적으로 건립했다. 화강석으로 깎아 만든 김정일 현지지도 기념비에는 김 위원장 사진과 '현지지도 말씀'을 새겨넣었다.

평양 소재 대학을 졸업한 한 탈북자는 "2000년대 초 내가 다니던 대학에도 화강석으로 만든 3대 장군 현지지도 기념비(각각 3개)가 세워졌다"며 "김정일 현지지도 기념비에 가서 애도하는 주민도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탈북자는 모든 공장, 기업소, 학교에는 김정일의 사진들이 비치된 김정일 혁명역사 연구실이 있다고 전하며 "매주 정치학습을 진행하던 이곳(연구실)이 지금은 김정일 애도장소로 사용될 것"이라고 했다.

한 대북소식통은 "김일성종합대학, 평양제1중학교 등 김정일의 모교에는 김정일 혁명사적관이 꾸려졌다"며 "이 학교 학생들은 영결식이 열리는 28일까지 학교 내에 건립된 김정일 현지지도 기념비와 김정일 사적관을 찾아 애도·추모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