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 장관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의 긴급 현안질의에서 “지금 유관부처 간에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문제는 현재 외교안보장관회의에서 논의중이다.
그는 “김 국방위원장 통치 시기에 남북 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우리 국민과 세계가 잘 알고 있고 북한이 우리의 안보 위협 세력인 동시에 대화 파트너인 것도 사실”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의사 결정이 남북관계뿐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 상황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전반·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북한이 발표한 것은 외국에서 조문단을 받지 않기로 한 것”이라며 “그러나 북한은 과거에도 외국 조문단을 받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남측의 조문단을 환영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그것을 보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류 장관은 `이명박 대통령이 이런 긴급상황에서 여야 대표를 초청해 오늘 오후라도 회동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한나라당 정몽준 전 대표의 제안에 “고려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그렇게 알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이희호 여사의 조문을 허가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는 정 전 대표의 지적에 대해서는 “이 여사 방문을 포함해 조문에 관한 정부의 공식입장을 조만간에 가급적 빠른 시일에 정리해서 말하겠다”고 답했다.
그는 “남북관계와 대북정책에 중요한 변수가 생긴 것은 사실”이라면서 “현실을 직시하고 있고, 북한의 내부문제나 대북문제를 속단해서 예단하기보다는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정은으로의 후계구도가 안정적으로 정착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시기에 대해서는 “장례 절차가 끝나고 정상적인 정무활동이 시작돼야 최소한의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면서 “내부사정이 어려운 시기에 김 위원장이 갑자기 사망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실제 어떻게 진행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