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윤섭 미술평론가 |
한국미술산업발전협의회는 한국미술협회, 한국전업미술가협회, 민족미술인협회,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한국큐레이터협회, 한국화랑협회, 한국공예가협회, 한국판화가협회 등이 함께 참여해 의미가 컸다.
그동안 국내 미술산업을 선진화시켜보자는 제안과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그것이 특정 개인이나 단체 위주의 한시적인 제안에 그쳤다는 점이 문제였다.
더욱이 미술문화의 특성상 워낙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고, 여러 계층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는 점도 큰 장애요소였다. 또한 아직도 미술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는 점 역시 빼놓을 수 없다.
그러면 이번 한국미술산업발전협의회는 어떤 부분을 강조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우선 미술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유통구조의 일선에 있는 경매사나 갤러리가 아니라 미술관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협의회는 현재 우리나라 미술시장 유통구조는 소규모의 개인 소장자나 애호가에게 큰 의존도를 보이는 기형적 현실임을 우선 지적한다.
따라서 그 개선책의 일환으로 미술관급 미술품 유통에 힘써야 하며, 그와 관련된 여러 지원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곧 미술품을 사유재보다 공공재로 봐야 한다는 맥락이다.
미술품을 공공재로서의 인식전환은 궁극적으로 미술관 활성화부터 시작하자는 것이다. 미술관이 제 기능을 해야 미술산업도 제대로 성장할 수 있으며, 이유는 미술시장 유통구조에서 미술관은 ‘생산-유통-소비’ 단계의 최종 종착지이기 때문이다.
한국미술산업발전협의회는 현재 미국ㆍ영국ㆍ프랑스 등 문화 선진국보다 50~100년가량 침체되고 낙후된 한국 미술시장이 하루빨리 도약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고민과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도 지적한다.
이미 21세기 들어 미술문화는 미래 창조 산업의 근간이 되고 있다. 또한 순수 미술의 사회적인 영향력은 국민의 감성과 창의성 교육, 국민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사회 통합 및 국가 자긍심 제고, 국위 선양의 기능 등 무한한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참고로 미술산업에 있어 미국ㆍ영국ㆍ프랑스 등 선진국들은 지난 수십 년간 미술관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해왔다. 미술관정책은 정부의 감독과 지원 하에서 미술관 운영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해왔고 미술관 기부에 대해 파격적인 세금 감면 지원을 통해 문화선진국 리더로서의 자리를 지킬 수 있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봉착한 난국을 타개할 것인가? 한국미술산업발전협의회는 우리의 미술산업 육성방안으로 몇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미술품이 현재는 물론 미래의 다음세대를 위한 공공재라고 인식하여야 하고, 둘째, 미술산업 선진국의 미술관 정책 성공사례를 한국 상황에 맞게 보완하여 도입해야 하며, 셋째, 강력하고 체계적인 미술관 산업 투자 및 육성 정책의 장기적인 플랜이 뒤따라야 한다는 점을 꼽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국가 전략 산업으로 ‘미술관 산업’ 지정 및 충분한 예산 확보, 정부의 감독과 지원 하에 독립적 기관인 ‘미술산업위원회(가칭)’를 설립하여 미술관을 전문적ㆍ체계적ㆍ지속적으로 감독 지원, 미술관 수준을 체계적으로 높이기 위한 ‘인증미술관’ 제도 도입, 미술품의 민간 기부 관련한 적극적인 재정 투여 및 세제 지원 정책 도입,미술관급 작가(뮤지엄 아티스트) 및 미술시장 육성을 위한 지원제도의 도입 등을 예시로 들었다.
결론적으로 한국미술산업발전협의회는 이번 출범을 계기로 미술산업 육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및 구체적 정책 제안을 지속적으로 해나가기 위해, 미술계를 포함한 문화예술계 내외부를 넘어 대중적 공론화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 정치ㆍ문화계가 함께 참여하는 세미나는 물론 연구 결과에 대한 보고 및 발표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치ㆍ문화계가 함께 참여하는 세미나는 물론 연구 결과에 대한 보고 및 발표도 진행할 계획이다.
종합해보면 한국미술산업발전협의회는 의사결정기구가 아니다. 여러 이해관계를 초월한 범미술계의 염원과 목소리를 한 데 모으기 위한 창구이다.
한국 미술계의 발전적 비전을 지속적으로 제시하는 현장전문가 집단의 채널이 생겼다는 점에서 향후 활동이 기대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