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 시점 등에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17일 오전 8시 30분에 사망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여전히 '16일 사망설'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노동신문은 25일자 정론에서 "(16일) 밤이 깊어가는 21시13분, 바로 그 시각 한 일군은 장군님께서 수표(서명)하신 하나의 문건을 받아안았다"며 "양력설을 맞이하는 평양시민들에게 청어와 명태를 공급할 데 대한 문제를 료해(파악)하시고 결론을 주신 문건이었다"고 공개했다.
김 위원장이 건강상태가 극히 좋지 않은 상황에서 사망 직전까지도 국민생활 향상을 위해 업무에 몰두했다는 점을 부각한 것이지만, 결재시간을 분단위까지 공개한 것에는 `16일 사망설' 등을 일축하려는 의도도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20대 후반에 불과한 김정은 부위원장이 너무 어리지 않느냐는 안팎의 우려를 의식한 듯 김 부위원장이 젊기 때문에 북한을 더욱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는 논리도 폈다.
신문은 "장군님께서 젊고 젊으신 백두산의 아들 존경하는 김정은 동지를 대오 앞에 거연히 세워주신 것은 바로 애국가에 차 넘치는 이 성스러운 혁명위업을 이룩하시기 위해 서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동신문은 또 "21세기의 태양 김정은 동지의 영원한 혁명동지가 되자"며 김 부위원장을 할아버지인 김일성 주석이나 아버지 김 위원장과 같은 반열에 올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