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특허전쟁 기로…“결국 화해 모색할 듯”

애플과 구글의 안드로이드 진영이 벌이는 특허소송 전쟁의 결과들이 나오면서 애플이 기로에 서 있다고 미 일간 샌프란시스코크로니클이 28일(현지시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10월5일 사망한 애플의 공동창업주 스티브 잡스가 시작한 특허소송의 결과들이 속속 나오는 가운데 특허 전문가들 사이에서 안드로이드 진영과 화해를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적재산권 컨설팅업체인 3LP어드바이저의 파트너인 케빈 리베트는 애플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경쟁자들과 화해를 모색해야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애플이 법정에서 승소해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더라도 경쟁사들은 차선책을 강구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호주에서 삼성 갤럭시탭10.1에 대한 판매금지결정이 나오고 미 국제무역위원회(ITC)가 HTC모바일 기기들에 대한 수입 금지를 검토할 때만해도 애플의 전략이 맞아 떨어지는 것처럼 보였지만 호주 상급법원이 판결을 뒤집고 ITC가 애플에 부분 승소판결을 내리면서 분위기가 급반전됐다.

특허소송의 역사도 애플의 편이 아니라고 IBM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적재산권 최고책임자를 역임했던 마셜 팰프스가 지적했다.

그는 “특허로 경쟁사의 시장진입을 막는데 성공한 사례는 없다”며 “소프트웨어는 특허침해를 피해가는 방향으로 살짝 변화만 주면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컴퓨터 기본 구성에 대한 IBM의 특허와 집적회로에 대한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원천특허는 이 같은 역사적인 경험의 예외라고 할 수 있지만 이들 역시 로열티를 받는 쪽으로 전략을 세워 그동안 수십억 달러를 벌어들였다는 것.

이에 비해 애플의 특허 대부분은 기본 기술과 관련된 것이라기 보다는 기기의 디자인이나 특정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많은 특허 전문 변호사들의 관심은 애플이 IBM 등과 같은 전략을 취할 것인지가 아니라 ‘언제’ 취할 것인지에 모아져 있다.

전문가들은 애플이 로열티를 받는 쪽으로 전략을 수정할 경우 마이크로소프트가 삼성전자나 HTC에서 받고 있는 것보다 많은 기기당 10달러씩은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다만 현재 애플이 보유한 현금과 투자자산만 810억달러에 달해 로열티 수입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이에 따라 애플은 안드로이드진영과의 경쟁을 감안해 법정 밖에서 다른 형태의 해결방안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삼성전자에 대한 소송을 철회하는 대신 삼성전자가 6개월∼1년간 애플의 특허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거나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부품 가격을 낮추는 것 등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됐다.

애플이 아이패드 크기의 태블릿시장에 집중하는 대신 삼성전자가 7인치 시장에 집중해 킨들 파이어와 경쟁하는 등 서로 다른 시장에 집중하기로 합의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함께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삼성전자가 아이튠스를 이용하도록 허용할 경우 삼성전자의 매출이 증가할 뿐아니라 최근 애플의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는 아마존의 이익을 낮추는데 기여하는데다 구글에 가까운 삼성전자의 애플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3LP어드바이저의 파트너인 케빈 리베트는 “내가 애플이라면 로열티를 받는 쪽으로 전략을 전환함으로써 자신들의 기술이 보다 널리 채용되고 경쟁자들의 공격을 늦출 것”이라며 “이것이 게임”이라고 말했다.

/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