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상고온과 극심한 가뭄 등으로 미국 내 땅콩 생산량이 줄면서 땅콩가격이 폭등하는 바람에 관련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고 28일 보도했다.
실제로 올해 미국 내 땅콩가격은 3배 가량 뛰었다. 땅콩 최대 수입 지역인 유럽에서도 60%가 올랐다. 땅콩을 원료로 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식품업체를 비롯한 관련 산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여기에는 세계 2위 땅콩 생산국인 인도와 최대 수출국인 아르헨티나가 공급량을 줄인 것도 한 몫 했다.
이에 미국의 대표적인 종합식품업체 크래프트와 JM스머커는 지난달 땅콩버터의 가격을 30~40% 인상했다.
미 농무부는 올해 미국 내 땅콩 생산은 12%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땅콩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토양에 습기가 풍부해야 하지만 미국의 땅콩 주요 생산지에서 2년째 가뭄이 계속하고 있다. 게다가 이상고온까지 겹쳐 수확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또 지난해 면화, 콩, 옥수수 등 다른 농작물의 가격이 치솟자 농부들이 올해 땅콩보다 이들 작물의 재배 면적을 늘렸다. 자연스레 땅콩 생산량도 줄었다.
땅콩가격 안정에 대한 전망을 어둡다. 관련 업계는 땅콩가격의 고공행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 땅콩 풍작이 예상되는 아르헨티나가 부족한 물량을 다소간 채워줄 것으로 기대되지만 땅콩가격이 정상화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또 미국 내 땅콩 주요 생산지인 텍사스주에 이상고온 현상이 오는 2013년까지 지속될 것이란 예측이다.
다만 세계 최대 땅콩 생산국인 중국은 평년 생산량의 7%를 웃도는 좋은 작황을 보이고 있어 세계적인 땅콩 부족 현상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