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의 후계세습체계가 불안해지거나 핵개발 의혹으로 제재조치를 받고 있는 이란 등 중동정세 악화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 중국경제의 경착륙 가능성= 미국과 유로시장의 구매력 둔화에도 중국의 제12차 5개년계획 등 각국의 내수활성화정책에 힘입어 아태지역은 견조한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이 내년에 9%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5개국에 대해서는 7.5%의 경제성장을 이룩할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영향력이 커질수록 관련 리스크도 커지게 마련이다. 특히 미국을 제치고 세계경제의 한 축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경제의 리스크는 내년 세계경제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 북한·중동의 정치리스크 = 북한과 중동의 정치리스크는 현재로서는 블랙스완(Black Swan)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선, 북한의 경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이후 아들인 김정은이 후계를 세습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경제난에 따른 민심이반, 권력계층의 동요 등으로 후계세습체계가 불안해질 것이라는 시나리오도 적잖게 나오고 있다.
◇ 유로존 재정위기의 심화 = 유로존 위기는 올 하반기 이후 스페인, 이탈리아 뿐만 아니라 프랑스 등 유로존의 중심부와 서유럽 국가에 의존도가 높은 동유럽까지 확산되고 있는 양상이다.
문제는 이탈리아 등 위기국가들의 국채 만기가 집중되는 내년 상반기다. 위기 확산시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유럽중앙은행(ECB)을 통한 국채매입 등 보다 강력한 대응책이 요구된다.
◇ 보호무역주의 확대 = 주요 국가들의 신용등급이 강등되고, 국가부도 가능성까지 점쳐지는 가운데 침체를 겪고 있는 각국이 자국의 경제안정을 위해 수출입과 개방경제보다는 보호무역을 강조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 정권교체의 시기, 국제공조의 약화 = 내년에 상당수 국가들이 대선과 총선을 치른다는 점도 세계경제에 중요한 변수로 적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월에 그리스가 총선을 치르고, 3월과 4월에는 러시아와 프랑스가 각각 대통령선거를 치르고, 10월에는 중국공산당이 전국대표대회를 연다. 또 11월에는 미국이 대선을 치르고, 우리나라도 12월에 대선이 기다리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