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상돈 비대위원은 28일 “현 정권의 공신이나 당 대표를 지낸 사람들이 `우리 책임이 아니다’라고 하는 것은 정치적 도의가 아니다”라며 “그 사람들을 그대로 두고 쇄신을 하면 누가 믿겠느냐”고 정권 핵심인사들의 용퇴를 요구했다.
이어 김 비대위원이 이날 MBN `뉴스M‘에 출연해 “(전체) 비대위원들의 생각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지만 제가 보기에는 일반 국민들의 생각이 그렇다고 생각한다”고 동조했다.
이는 이상득, 이재오 의원을 비롯해 현 정부에서 여당 대표를 지낸 박희태 국회의장, 정몽준 안상수 홍준표 의원을 모두 겨냥한 말이다.
당사자 중 한 사람인 홍 전 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비대위원을 겨냥, “우리가 조용환 헌법재판관 내정자를 부정하는 이유가 북한의 천안함 폭침사건(에 대한 부정적 입장) 때문인데 그걸 부정하는 사람을 한나라당 비대위원으로 둬서 되겠느냐”며 사실상 교체 필요성을 제기했다.
당 관계자에 따르면 이 비대위원은 과거 한 보수 인터넷 사이트 칼럼을 통해 천안함 사건과 관련, 과잉무장에 따른 선체피로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전여옥 의원도 본 회의장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비대위원의 과거 동화은행 뇌물수수 사건을 거론하며 “국민이 제일 싫어하는 게 돈 먹는 것”이라며 “전과자가 우리에게 쇄신·개혁하라는 게 말이 되느냐”고 꼬집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용퇴 압박을 받고 있는 구주류 친이(친이명박)계의 집단 반발 가능성, 친박(친박근혜) 중진들까지 용퇴론 확산 여부 등을 감안해 당이 자칫 분열위기를 맞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더욱이 비대위가 현 정부와의 차별화에 본격 나선 가운데 일부 비대위원들이 이명박 대통령 탈당 문제까지 거론하는 것으로 알려져 정권 말기의 당청갈등을 예고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용퇴론에 대해 “개인의견일 뿐이다. 단정적으로 누구는 쇄신의 주체이고, 누구는 대상이라고 해서는 쇄신이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당내에선 찬반 논쟁이 가열되며 논란이 증폭되는 양상이다.
한나라당 재창당을 주장해 온 원희룡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가 방향을 잘 잡고 있고, 점령군이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해야 한다”면서 용퇴론에 대해서도 “방향은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