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경남도는 산부인과 병원이 없는 농어촌지역 임신부를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찾아가는 산부인과’ 혜택범위를 확대해 가임여성에게도 부인과 검진 서비스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가임여성에 대한 부인과 검진은 자궁암, 유방암, 갑상선암 등 3종에 대해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것이다.
경남도는 이를 위해 유방 X-선 촬영기와 유방암까지 검사할 수 있는 초음파검사기 등을 갖출 예정이다.
대상지역은 산부인과가 없는 의령, 고성, 하동, 산청, 함양, 합천 등 6개 군 지역이며 한 해 5000명 정도를 검진하게 된다.
경남도는 2008년 3월부터 산부인과 의사와 간호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 전문인력과 초음파 검사, 태아 기형아 검사 등이 가능한 장비를 갖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인구보건복지협회 경남지회에 위탁해 시행하는 이 사업을 통해 그동안 약 600회에 걸쳐 1만 2900여명의 임신부가 무료 산전 진찰을 받았다.
특히 매년 3000여명의 대상 임신부 가운데 25% 가량은 다문화가정의 결혼이민여성이어서 의미가 더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산전 진찰 결과 대상자의 15.4%가 간염과 당뇨 등 이상 소견자로 드러나 기형아 등 사전예방에도 크게 기여했다.
찾아가는 산부인과는 현재 한 군에 월 2~3회 순회하며, 사전 예약을 받아 보건소에서 진찰을 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초창기엔 함안, 창녕, 남해, 거창을 포함한 10개 전 군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됐지만 의사회에서 반발해 2009년 3월부터 산부인과가 한 곳이라도 있는 4개 군은 제외됐다.
이 제도를 처음 도입한 경남도는 2008년 보건복지부 모자보건평가에서 전국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벤치마킹에 나서면서 2009년 보건복지부 중앙 시책사업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의료소외 지역ㆍ계층을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산부인과는 큰 호응을 얻고 있다”며 “출산장려와 임산부 보호를 위해 추경에서 예산을 확보, 빠르면 하반기부터 가임여성까지 확대운영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