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국가위는 올해 과학기술 강국을 위해 국가 대형 연구사업 추진 등 핵심 과제를 선정했다.
초일류 신제품, 세계 최고 원천기술 개발, 공공복지 기술 등 국가 연구사업도 기획하고 부처 공동으로 사업도 추진한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6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국가위는 이날 업무보고에서 연구개발(R&D)의 효율성을 높이고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범부처 차원의 연구사업 기획 △효율적인 예산 배분조정 체계 구축 △연구성과의 질을 높이는 평가제도 선진화 △안정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연구환경 조성 △기술창업 지원 강화를 핵심과제로 제시했다.
또 창의적·도전적 기초연구를 위해 1회 협약으로 3년간 연구비를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그랜트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우수 연구원의 정년도 현재 61세에서 65세로 연장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및 제품 개발을 목표로 국가 대형 연구사업인 ‘창조도약 2020’도 추진된다.
국민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공모해 △초일류 신제품 △세계최고 원천기술 △공공복지 기술 등의 분야에서 연구과제를 발굴하고, 산학연이 함께 연구성과를 제품개발, 상용화 단계로 이어가겠다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로봇·소재 등 8대 기술 분야에서 ‘민군(民軍)기술협력 마스터플랜’을 짜고 재난·재해 관련 연구개발(R&D) 전략을 세우는 등 국가 차원 이슈에 대한 R&D도 강화된다.
정부지원 예산중 출연금 비중도 지난해 42.6%에서 오는 2014년까지 70%로 확대하며 자율적으로 기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효율적 예산 배분을 위해 R&D사업간 유사중복성을 집중 점검해 중복사업은 대표사업으로 통합하고 유사사업은 상호 연계시킬 방침이다.
기술창업지원도 지난해 1.7%에서 2015년까지 3%로 투자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며, 출연연 묶음예산의 5% 이상은 기술 창업에 활용토록할 계획이다.
한편 국가위는 종전에 360개가 넘는 연구개발(R&D)사업에 대해 약 2개월 동안 집중 검토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70여개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10개월에 걸쳐 상시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