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한국의 식품물가 상승률은 7.9%를 기록했다. 이는 에스토니아(9.9%)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전체 OECD 국가의 평균 식품물가 상승률은 3.7%에 불과하다. 식품물가 상승률이 5%를 넘는 나라는 △헝가리(7.3%) △칠레(6.6%) △핀란드(6.3%) △슬로바키아(6.2%) △영국·터키(5.6%) △폴란드(5.1%) 등 7개국이다.
같은 기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0%로 △터키(6.3%) △에스토니아(5.1%) △폴란드(4.2%)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독일·프랑스 등을 비롯한 유로존 17개 국가의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8%를 기록했다.
이 같은 식품물가 상승은 연초 이상한파로 인해 배추와 무 등의 작황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여름철 잦은 홍수로 출하가 지연되며 급등한 신선식품의 가격도 물가의 주요 요인이었다.
또한 불안정한 정세 속에서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도 악재로 작용했다. 이란의 핵 프로그램 개발로 인해 서방국가 간 호르무즈 해협을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며 국제유가는 더욱 불안해질 전망이다.
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26센트(0.3%) 오른 배럴당 103.22달러를 기록했다.런던 ICE선물시장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1.08% 상승한 배럴당 111.34달러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그럼에도 주요 기관들은 올해 식품물가 상승률이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무디스는 지난달 2012년 세계 식품물가 상승률이 완화될 전망이라며 식품회사가 수익을 위해 가격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은행도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지난해보다 0.7%포인트 떨어진 3.3%로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