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수해에만 전셋값 상승’, 짝수효과 공식 사라져

  • 금융위기 등 겪으며 전세수요 분산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짝수해에 전세 수요가 몰리며 전셋값이 급등하는 일명 ‘짝수효과’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짝수효과는 지난 1990년 전세 계약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정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12일 국민은행 전국 주택전세가격 종합지수 자료에 따르면 1987년 전세가격은 전년 대비 19.4% 상승했으며, 1988년과 1989년에도 각각 13.2%, 17.5%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는 전셌값 상승세를 잡기 위해 1989년말 주택임대차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리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자 1990년부터 2년치 임대료가 한번에 적용되면서 전세가격은 전년 대비 16.8% 올랐으며 이듬해에는 수요가 사라져 1.9% 상승에 그쳤다

이후 2년 단위 계약 시기에 맞춰 짝수해에만 전세 수요가 몰리게 됐다.

하지만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여파로 전셋값이 18.4%나 떨어지면서 2005년까지는 홀수해에 전셋값이 더 많이 오르는 양상을 보였다. 홀수해였던 지난해에도 전세가격 상승률이 12.3%로 2001년 이후 최고 오름세를 나타내기도 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금융위기 등을 거치며 전세수요가 분산됐고, 최근 3년 연속 전셋값이 올랐기 때문에 올해에는 상승폭이 완화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