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수효과는 지난 1990년 전세 계약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정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12일 국민은행 전국 주택전세가격 종합지수 자료에 따르면 1987년 전세가격은 전년 대비 19.4% 상승했으며, 1988년과 1989년에도 각각 13.2%, 17.5%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는 전셌값 상승세를 잡기 위해 1989년말 주택임대차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리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자 1990년부터 2년치 임대료가 한번에 적용되면서 전세가격은 전년 대비 16.8% 올랐으며 이듬해에는 수요가 사라져 1.9% 상승에 그쳤다
이후 2년 단위 계약 시기에 맞춰 짝수해에만 전세 수요가 몰리게 됐다.
하지만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여파로 전셋값이 18.4%나 떨어지면서 2005년까지는 홀수해에 전셋값이 더 많이 오르는 양상을 보였다. 홀수해였던 지난해에도 전세가격 상승률이 12.3%로 2001년 이후 최고 오름세를 나타내기도 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금융위기 등을 거치며 전세수요가 분산됐고, 최근 3년 연속 전셋값이 올랐기 때문에 올해에는 상승폭이 완화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