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무자원 산유국 꿈 선봉에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SK이노베이션은 올해 석유개발 투자를 확대하며 글로벌 메이저 개발사로 도약하기 위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12일 SK이노베이션에 따르면 올해 회사는 자원개발 분야에 지난해 1조3000억원보다 8000억원 늘어난 2조 1000억원을 투자한다. 생산 및 개발단계의 광구 매입 또는 해외 석유개발 기업 인수 등 다양한 사업기회를 모색하기 위해서다. 또 휴스턴의 기술센터를 보강함으로써 국내 최대 민간 석유개발 기업을 넘어 세계 메이저로 발돋움할 방침이다.

이처럼 투자 확대가 가능한 것은 그 동안의 투자가 높은 성과로 나타난 덕분이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24억달러 규모의 브라질 광구 매각을 통해 다양한 사업 성장 옵션을 가질 수 있게 됐다.

석유개발 사업의 내실도 탄탄해졌다. 지난해 상반기 석유개발 영업이익률은 50%를 상회했고, 이는 SK이노베이션의 영업이익률(4.8%)보다 10배나 높다. 또한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5%에 불과하지만 전체 영업이익에서 석유개발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7.6%나 된다.

SK이노베이션은 2011년 말 기준 16개국에서 26개 광구 및 4개 LNG 프로젝트를 통해 활발한 석유개발 사업을 진행 중이다. 페루, 베트남 등 생산광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체가 8개월간 쓸 수 있는 5억 3000만 배럴의 지분 원유를 확보했다. 2020년까지 지분원유 보유량을 10억 배럴까지 늘린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10억 배럴은 우리나라 전체가 1년 4개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SK이노베이션의 일일 지분 원유 생산량 역시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지난 2005년 일일 2만 4000배럴에 불과했던 지분원유 생산량은 2010년 기준 5만 9000배럴로, 지난 5년 새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2010년 6월에는 SK이노베이션이 확보한 페루 88광구(카미시아)와 56광구에서 생산하는 대규모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LNG로 판매할 수 있는 LNG 공장을 준공했다. 이는 SK이노베이션이 기존 원유 및 천연가스 광구 투자와 함께 대규모 수송을 위한 파이프 라인 구축에 이어 가스 액화 및 수출까지 전 과정에 참여, 페루 현지에 수직계열 생산체계를 완성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초대형 프로젝트의 성공으로 세계 유수의 자원개발 기업들로부터 큰 신뢰를 얻어 향후 석유개발 사업에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