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울만 남은 한나라, 이대로 ‘풍비박산’?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명함에 한나라당의 제호는 넣겠지만 기호를 1번으로 넣어도 좋을지 고민이다. 2번이 될 수 도 있으니까.”

오는 4·11 총선의 출마를 준비하는 한나라당의 한 예비후보는 우회적으로 한나라당의 분당 가능성을 시사했다.

집단 탈당이 일어날 경우, 한나라당의 의석수가 민주당 보다 적어지게 돼, 다수당의 기호인 1번이 아닌 2번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농담과 우려가 섞인 발언이지만 이는 현재 한나라당의 분위기를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다.

돈 봉투 사건으로 당 전체가 쑥대밭이 된 상황에서 비상대책위와 이에 대해 부정적 여론을 확대하고 있는 쇄신파와 친이(친이명박)계 의원들의 갈등이 계속돼고 있다. 한나라당 내에서는 당 붕괴 이야기가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

수도권 지역의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또 다른 예비후보는 “당초 한나라당으로 출마를 하기 위해 준비해 왔지만 지금 같은 경우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편이 오히려 나을 수 도 있겠다는 고민을 하고 있다”며 “공천기준도 확정되지 않은 지금 당의 공천만 마냥 기다리는 것 보다 지역에서 조금이라도 더 활동하는 편이 낫지 않느냐”고 말했다.

앞서 서울 강서갑을 지역구로 둔 한나라당 구상찬 의원은 자신의 의정보고서 표지에 ‘국회의원 구상찬 의정보고서’라고만 표기하고,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은 아예 빼 놓기도 했다.

구 의원은 “서민들의 생활은 어려운데 중앙선관위 디도스 공격과 돈봉투 사건까지 터진 상황에서 한나라당임을 강조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당내 갈등은 오히려 확산될 조짐이다.

홍준표 전 대표와 원희룡 의원은 지난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돈 선거’ 의혹을 제기했고,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이에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으며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돈봉투’ 파문이 친이(친이명박)계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과 함께 친이vs친박(친박근혜)의 계파 싸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쇄신파와 친이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 해체 후 재창당’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도 당내 불안감을 확산시키고 있는 주 원인이다.

한나라당내 핵심 당직자는 “설 연휴가 고비가 될 것”이라며 “설 연휴 이후 한나라당에 대한 민심과 비대위 체제, 즉 박근혜 비대위원장에 대한 여론이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 될 경우 대규모 탈당사태가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