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한나라, ‘열쇠’ 쥐고 있는 김효재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전당대회 돈봉투’ 파문으로 중심에 청와대 김효재 정무수석이 서 있다.

김 수석은 앞서 디도스 사건에 이어 이번 파문에도 연루되는 등 한나라당의 잇단 악재에 연루된 인물로 해결‘열쇠’를 쥐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대 돈봉투’ 사건에 대해 수사하고 있는 검찰은 조만간 김 수석을 소환해 사실여부에 대해 조사할 것으로 알려져 향후 여권에 어떤 파장을 몰고 올지 주목된다.

김 수석은 12일 고승덕 의원이 돈 봉투를 돌려준 이후 자신에게 전화를 걸었던 사람으로 김 수석을 지목한 데 대해 강하게 부인했다.

그는 “고 의원과는 얘기를 해본 적이 없다. 검찰 진술은 그의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말했다.

고 의원은 지난 8일 검찰조사 과정에서 2008년 전당대회 당시 박희태 캠프 상황실장이었던 김 수석이 “왜 돈을 돌려줬느냐”는 전화를 받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수석은 앞서 자신이 돈 봉투의 전달자라는 의혹을 받았을 당시에도 “고 의원과는 말 한 마디 나눈 적 없다”고 일축한 바 있다.

그러나 김 수석은 현 청와대 핵심 인사로서 여권을 뒤흔들고 있는 사건의 중심에 서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태의 결말을 결정지을 중요한 인물이라는 분석이다.

이날 현재 돈 봉투를 돌려받은 당사자로 지목된 고명진 박희태 국회의장 전 비서와 안병용 한나라당 서울 은평갑 당협위원장을 불러 연이틀 강도 높은 조사를 하고 있다. 검찰이 이들로부터 새로운 증거나 정황을 확보할 경우 수사는 김 수석에게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김 수석에게 수사가 확대될 경우 청와대로 불똥이 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나라당 쇄신파인 정두언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 2008년 전당대회와 관련해 “청와대 오더로 해서 전당대회가 치러진다”며 “청와대가 ‘내 편한 사람 당대표 좀 했으면 좋겠다’는 오더를 내려 우리가 따르고 동원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특히 '청와대가 지시하고, 실세 이상득 의원이 주도해서 친이계가 조직적으로 움직였나'는 질문에 “물론이다. 다 아는 이야기”라며 당시 박 의장 당선에 청와대가 개입했음을 시사했다.

여권의 한 인사도“청와대 핵심 인사인 김 수석이 디도스 사건 뿐 아니라 이번 ‘돈 봉투’ 문제까지 연루된 정황이 드러난다면 사실 여부를 떠나 청와대에 대한 책임론이 나올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