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전망률 수정 폭은 지난 2009년 1월 이후 3년 만에 최대 수준이다.
세계은행은 18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경기침체가 인도나 멕시코와 같은 신흥국의 성장세를 악화시킬 여지가 있다며 하향 조정 이유를 밝혔다.
특히 유로존의 성장률을 당초 1.8%에서 -0.3%로 낮췄다. 전체 선진국의 전망치는 2.7%에서 1.4%로 낮추잡았다. 인도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개발도상국의 성장률도 6.2%에서 5.4%로 하향 조정했다.
미국 성장률 전망치는 당초 2.9%에서 2.2%로 낮췄다. 일본고 2.6%에서 1.9%로 내려 잡았다. 중국은 올해 8.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 채무위기가 세계 금융위기로 번질 가능성도 언급하면서 개도국에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은행은 보고서에서 “선진국들이 자국 경제를 뒷받침할 재원이 없기 까닭에 이머징마켓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더 취약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썼다.
세계은행의 거시경제분야 책임자 앤드류 번스는 전화회의에서 “2008~2009년 이후 세계 경제성장을 이끈 일부 개도국들의 성장률이 주춤하고 있다”면서 “이는 고금리 정책을 등 대부분 국내 정책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또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3.6%에서 3.1%로 0.5%포인트 낮추잡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