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삼성重 "바다속 4572m서 시추 가능한 세계 최고의 기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19 13: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르포> 삼성重,드릴십 시장점유율 48% 세계 1위

삼성중공업이 다음달 인도할 예정인 드릴십 'SERTAO'호의 모습. (삼성중공업 제공)

(거제=아주경제 이대준 기자) 삼성중공업은 전 세계 조선업체 가운데 드릴십 분야에서 단연 1위다. 1996년 처음으로 드릴십을 수주한 이래 지금까지 48척을 수주해 시장점유율 48%를 기록 중이다.

“세계 최고의 드릴십 경쟁력을 보유한 삼성중공업은 더 깊은 바다로 나가기 위해 다음 단계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17일 거제조선소에서 만난 삼성중공업 기본설계2팀의 정호현 상무는 이같이 밝혔다.

정 상무는 “지난해 9월 새로운 모델의 드릴십을 미주지역에서 론칭했다”며 “30여개 선주, 100여명이 참석했으며 반응이 좋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드릴십의 제원과 기능 등 세부 내용을 설명했다”며 “수주가 이뤄지면 곧바로 건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드릴십은 바다 속 해저면에 구멍을 뚫어 원유나 가스를 채취할 수 있게 도와주는 해양설비 가운데 하나다.

이번에 새롭게 개발한 모델은 ‘그린 퓨처 드릴십’ 타입이다. 구체적으로는 ‘울트라 딥워터 그린 퓨처 드릴십’이다. 깊은 바다에서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울트라 딥워터(Ultra deep water)가 붙었다.

이 드릴십의 가장 큰 특징은 바다 속 깊이(해수면에서부터 해저면까지)가 1만5000피트(4572m)에서도 작업할 수 있다는 것. 유가 상승으로 점차 심해 개발이 늘어나면서 깊은 바다에서 안정적으로 시추 작업을 할 수 있는 기술력이 관건이 되고 있다.

현재 경쟁사인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은 1만2000피트(3657m)까지만 가능하다. 심해 유전과 가스전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선주들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삼성중공업도 지난해 현대중공업의 약진에 적잖이 놀랐다고 한다. 정 상무는 “현대중공업이 지난해 11척의 드릴십을 수주한 것을 보고 당황스러웠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그동안 현대중공업은 드릴십 분야에서 별 다른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지난해에는 11척을 수주하며 삼성중공업을 1척 차이로 제치고, 연간 실적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누적된 기술력과 노하우가 있기 때문에 크게 게의치 않고 한발 더 앞서가겠다는 설명이다.

야드로 나가 건조 중인 드릴십을 살펴봤다. 드릴십은 시추 구멍을 뚫기 위한 데릭이라는 타워가 있어 멀리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달 인도 예정인 ‘SERTAO’호는 현재 마무리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이경훈 드릴십PM1 차장은 “2008년 브라질 선사로부터 수주한 두 척의 드릴십 가운데 2호선”이라며 “선가는 약 7억 달러에 이른다”고 말했다.

‘SERTAO’호는 싱글 데릭(시추 타워가 한 개인 형태)으로 만들어졌다. 핵심 설비인 드릴링 시스템과 BOP 설비는 NOV사가 담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