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낙동강 지류하천 관리에도 "때늦은 조치" 지적

  • 경북도 낙동강 지류하천 관리에도 "때늦은 조치" 지적

(아주경제 전기연 기자) 경북도가 낙동강 지류하천 관리에 나섰지만 때늦은 조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9일 경북도는 올해부터 낙동강의 1차 지류하천을 살리는 사업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낙동강사업이 사실상 마무리됨에 따라 고령군 회천, 의성군 위천, 성주군 백천ㆍ신천 등 모두 15개의 1차 지류하천을 살리는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도는 국ㆍ도비 170억원을 들여 연말까지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한 뒤 내년부터 하천 개수사업 등을 할 방침이다.

지류하천 살리기는 낙동강 보의 완공으로 강물이 역류하는 등 생태환경 변화 및 농경지 피해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다.

종전에 세워진 1차 지류하천의 기본계획은 장마철 홍수를 예방하는 대책만 들어 있었다..

그러나 이번에 수립된 지류하천 살리기 사업도 기본계획수립 1년, 개수사업 3~5년이 소요돼 때늦은 조치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낙동강과 직접 연결되는 하천은 15개 지류하천과 3개 국가하천(반변천, 감천, 내성천)이 있다.

경북도 안종록 건설도시방재국장은 "(중앙정부에) 낙동강사업에 따른 지류하천의 생태환경 변화를 여러 차례 건의해 뒤늦게 국비를 확보했다"면서 "모니터링을 강화해 낙동강사업의 효과를 반감시키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