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은 고발장 등 서류 검토와 고발인 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사건 경위를 파악하는 대로 설 연휴가 끝나면 본격적으로 관련자를 불러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찰청 관계자는 “사안이 중대한 만큼 오늘 중으로 사건 배당 절차를 마무리 짓고 서둘러 수사에 착수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번 수사는 지난해부터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된 비리 첩보를 입수해 CNK에 대한 내사를 벌여온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가 맡아 초반부터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검찰은 오덕균 CNK 대표, 국무총리실장 출신의 조중표 CNK 전 고문 등 핵심 관련자에 대해 출국금지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증권선물위원회는 미공개정보를 이용, 주가조작을 통해 803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오 대표 등 2명과 CNK를 검찰에 고발하고 이에 동조한 혐의로 조 전 고문 등 6명을 검찰에 통보키로 의결한 뒤 전자문서로 대검찰청에 고발장을 접수했다.
검찰은 우선 조 전 고문과 비리 의혹이 제기된 CNK 임원 등 핵심인물의 혐의를 확인하는 데 총력을 다하고, 총리실·외교부·지식경제부 산하 광물자원공사 직원 등 다른 공무원들도 연루된 정황이 드러나면 수사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증선위 고발 대상에서는 제외됐으나 감사원 감사를 받는 김은석 외교부 에너지자원대사와 동생 부부 등도 수사 대상에 올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정치권에서 2010년 5월 민관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카메룬을 방문해 CNK 지원 외교를 한 것으로 알려진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에 대해 의혹을 제기함에 따라 살펴볼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감사원은 김 대사의 동생 부부가 CNK 주식으로 시세차익을 봤다는 의혹에 대해서 조사를 벌이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해 8월 31일 국회의 감사청구로 감사가 시작된 지 약 5개월 만인 오는 26일, 감사위원회를 열어 이 사건의 최종 결론을 내릴 계획이다.
조 전 고문의 보좌관 K(3급)씨와 김 대사의 비서 Y(8급)씨도 CNK 주식을 매입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의혹은 증폭되고 있다. 외교부는 지난해 자체 조사에서 이 사실을 확인하고도 숨겨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건은 수년간 적자를 면치 못하던 CNK가 2010년 12월 관계사인 CNK마이닝이 카메룬에서 추정 매장량 4억2000만 캐럿의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을 획득했다는 소식이 외교부 보도자료를 통해 전해지면서 시작됐다.
이로 인해 당시 3000원대였던 주가는 3주 만에 5배인 1만6000원대로 폭등했다.
조 전 고문은 오 대표를 통해 외교부가 허위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데 개입했으며 본인과 가족 명의로 CNK 주식을 거래해 5억여원의 차익을 챙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 대사 동생 부부는 보도자료가 배포되기 전 1억원 이상의 CNK 주식을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감사원 감사 결과와 검찰 수사에 따라 이번 사건이 단순한 주가조작이 아니라 권력층이 대거 동원된 ‘게이트’로 번질 가능성이 있어 주목받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