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신의 정치’는 않겠다고 선언한 박 위원장이지만 당내 친이(친이명박)계를 중심으로 반박(반근혜) 전선이 형성되면서 청와대와 불편한 관계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박 위원장은 차별화를 위한 차별화는 안하는 대신 서민정책을 펴면서 현정부와 자연스럽게 거리두기에 나설 태세다.
박 위원장은 19일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탈당이) 당에서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앞으로 비대위 차원에서 이 대통령의 출당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박 위원장은 그러나 현정부의 성장위주 경제전략인 MB노믹스를 철회하면서 자연스럽게 차별화를 시도할 방침이다.
그는 “국민.서민을 바라보면서 서민경제활성화를 시도하는 게 필요하다”며 “서민위주 정책을 추진하다 보면 현정부와는 분명하게 다른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도적 차별화를 하진 않지만 인적쇄신, 정책 등으로 현정부의 색깔을 빼겠다는 취지다.
그럼에도 당 일각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알아서 탈당하라는 식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MB 출당요구’는 지속될 전망이다.
김종인 비대위원은 이날 “총.대선에서는 결과적으로 현 정권 심판론이 나올 것이고, 야당이 그런 심판을 들고 나오면 한나라당이 처한 상황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이 대통령의 자진 탈당요구는 상식적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나라당이 (대통령과) 뭐가 다르다는 것을 분명하게 처신하지 않으면 여러 선거 경험을 봤을 때 대략 어떤 (유권자들의) 판단이 나올지는 예측 가능하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비대위 소속 권영진 의원도 ”한나라당이 제대로 태어나려면 대통령은 자리를 비켜주는 것이 맞다“고 가세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묵묵부담으로 일관하고 있지만 불쾌한 속내를 드러내고 있다.
청와대 박정하 대변인은 ”일부에서 제기하는 의견인 만큼 지켜보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러나 참모진들은 당 비대위가 정책 차별화를 넘어서 대통령까지 정권 재창출의 걸림돌로 지목하고 나선 데 대해서는 불쾌감을 드러냈다.
한 관계자는 ”일부 의원들의 주장은 정치적 목적이 뚜렷한 것으로 보인다“며 ”현 정부의 공과를 함께 안고 가야지 저런 모습은 국민에게 또 다른 꼼수로밖에 비치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청와대 내부는 이 대통령이 당적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다. 이 대통령이 당적을 유지한다고 해서 큰 실익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구태정치의 악순환을 청산하고, 책임정치를 구현할 것이라는 임기 초 약속을 지킨다는 것이다.
이 같은 청와대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여권에선 이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논란이나 측근 비리 등으로 여당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결국 총선을 앞두고 대통령이 탈당을 선택할 것이란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