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업체 (주)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공급된 387개 사업장 중 청약률0%인 아파트는 27개인 7%에 그쳤다. 전년도 대비 11%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2010년엔 전국 205개 사업장에서 37개 사업장이 청약률 0%를 기록, 18%에 이르렀다.
청약률 제로 아파트는 정식 청약기간동안 청약통장을 한명도 사용하지 않아 공급초기 분양자들의 청약선택에서 철저히 외면받은 사업장을 뜻한다.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엔 435개 사업장 중 114개(26.2%)사업장이 청약률 0% 사업장으로 낙인찍히기도 했다.
지난해 청약률 제로 아파트 비율이리 감소한 것은 정부의 청약제도 변경 때문이다. 작년 한해 387개 사이 완화(1순위 24개월→6개월)됐다. 민영주택 재당첨제한 적용도 배제(분양가상한제 주택 등에 당첨되면 적용받는 재당첨제한 기간 배제)됐다. 청약제도가 이 같이 개선되면서 일부에선 신중한 청약통장 사용의 의미도 퇴색됐다.
특히 미분양감소 추세에 주택청약종합저축 첫 1순위 배출까지 겹쳐 순위내 청약 움직임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전체 청약률0% 사업장 비율은 수도권보다 지방에 쏠려, 27개 사업장 중 20개 사업장 이 지방(74%)에 몰렸고, 2010년 비해 지방비중(%)은 4.3%p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청약률 제로 아파트는 분양시장의 주홍글씨나 다름없다. 청약경쟁률이 분양사업지의 선호도를 나타내는 지표지만 아무도 청약하지 않는 아파트에는 대부분이 계약을 꺼리게 되기 때문에 일종의 낙인이나 다름없는 셈이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연구실장은 “지난해 부동산 규제 완화로 청약률 제로 사업장은 줄었으나, 최근 들어 미분양이 다시 늘고 있고 입주 적체지 또는 소규모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의 외면은 여전해 올해는 좀 더 두고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