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분과위 “중앙당 전국위체제로 변경”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24 18:3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정치쇄신분과위가 24일 중앙당을 전국위원회 체제로 바꾸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은 없애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돈 정치쇄신분과 위원장은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정당구조 개편 기본 방향을 밝혔다.

이 위원은 분과위 차원의 아이디어임을 전제로 “중앙당은 폐지가 아니라 (전당대회 수임기구인) 전국위원회 체제로 바꾸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없애는 것”이라면서 “국회의원은 원내대표 중심으로 가고, 전국위 체제의 중앙당은 당원 중심의 정당으로서 당원ㆍ국민과의 소통 및 저변확대 기능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무총장 같은 (당직의) 경우 전국위 의장이 인선하게 된다”면서 “선거 때는 전국위가 선거체제로 바뀌는데 이렇게 되면 지방당도 민주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다. 특히 국회의원이 지방 선출직에 과도하게 관여하는 것도 배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 위원은 정당구조 개편 추진 이유에 대해 “당 대표를 뽑기 위해 무한경쟁을 하고, 그것이 하향식 공천으로 이뤄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데 대부분 공감한다”면서 “전대 돈봉투 사건이 그런 변화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았나 하는 것이 분과에 참여한 교수와 쇄신파 의원들의 만장일치된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분과위는 세미나와 공청회 등을 통해 정당구조 개편을 위한 공론화 작업을 해 나가기로 했다. 이 위원은 가능한 비대위 활동이 끝나기 전 이를 매듭지어 4·11 총선 전에 공약으로 제시하면 좋지 않겠느냐는 뜻도 내비쳤다.

그는 또 “26일 비대위 전체회의 때 총선 공천심사위 구성을 논의하겠지만 인선발표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공심위원장은 뾰족한 분이 없어 딜레마인데 대내외적으로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실물정치를 좀 아는 분이 돼야 할 것 아니겠느냐. 그런 것을 모르는 분이 위원장을 하면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우려했다.

비대위원의 공심위 참여 문제에 대해선 “당규에는 비대위원장이 대표 최고위원 역할을 한다고만 돼 있고 그 이상 아무런 언급이 없다. 해석에 따라서는 비대위원이 공심위원이 될 수 있다”며 가능성을 열어뒀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현역의원들의 참여 여부에 대해서도 “상식선에서 볼 때 그럴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설명했다.

야당 중진의원들의 잇따른 수도권 출마 움직임에 대해선 “지나치게 정치공학적인 공천을 하는 것 같다”면서 “다른 지역 분들이 서울 종로나 동작을 등에 출마하려는데 선거를 ‘워게임’으로 보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또 “우리는 다른 지역구의 현역의원을 원격적으로 다른 곳으로 옮기는 ‘전국 뜀뛰기’를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박근혜 비대위원장도 ‘전략공천, 물갈이 이런 단어가 유권자를 폄훼하는 것이기에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