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서울 아파트와 연립주택(다세대 포함), 단독주택(다가구 포함)의 전셋값을 조사한 결과, 상관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4.39% 내렸다. 연립·단독주택도 각각 9.79%, 10.94% 떨어졌다. 2005년에는 서울 아파트가 6.16%로 상승세로 돌아섰다. 그러자 연립(-0.56%)과 단독주택(-3.81%)의 하락 폭이 줄었다.
아파트 상승 폭이 11.48%로 커진 2006년에는 연립(8.70%), 단독주택(6.87%) 전셋값도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후 전셋값 상승 폭이 둔화되던 아파트와 연립·단독주택은 2010년 들어 아파트가 7.38% 오르자 연립·단독도 각각 5.99%, 3.85%의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지난해에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13.42%로 크게 올랐고 연립과 단독주택 전셋값도 각각 8.41%와 6.07% 뛰었다.
닥터아파트 이영호 리서치연구소장은 “아파트 대체재인 연립주택 및 단독주택은 전세시장에서 가격 동조화 현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며 “올해도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 압력이 높은 만큼 연립·단독주택 전셋값도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