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은 충북 진천에 있는 국가기상위성센터 내 우주기상 상황실에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우주복사폭풍’과 ‘우주입자폭풍’‘우주자기폭풍’ 등 세 유형의 우주폭풍에 대해 특보를 낼 방침이다.
미국 등 일부 국가의 기상당국은 우주폭풍의 유형과 예상되는 장애를 특보나 경보 형태로 알리고 있다.
기상청은 내년에 태양활동이 극대기에 접어들면 대규모 우주폭풍이 더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관련 연구기관과 함께 ‘국가우주기상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대응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2017년에 발사될 천리안 위성의 후속위성에 우주기상 관측센서를 탑재해 관측 범위를 확대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