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경기둔화 탓에 대출받기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어서 중소기업의 자금난 가중이 우려된다.
29일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기업대출 통계를 보면 2011년 11월말 현재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462조9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전년 같은 달보다 3.2% 늘었다.
같은 해 9월과 10월 증가율 2.2%, 2.4%에 비교하면 다소 증가한 것이지만 이면을 보면 중소기업의 자금여력은 여전히 열악한 수준이다.
지난해 11월 대기업 대출 잔액은 125억4000억원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2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 대출 증가율의 8.3배에 달한다.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분이 대부분 대기업으로 몰렸다는 뜻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대출 증가율은 2011년 경제성장률(3.6%)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대기업과 비교하면 대출이 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를 반영하듯 중소기업이 느끼는 자금 사정도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악화했다.
한국은행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올해 1월 중소기업의 자금사정실적BSI는 전월과 같은 82로 2009년 5월(82) 이후 최저치다. 작년 7월 88 이후 올해 1월 82까지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자금사정실적BSI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돈 사정이 좋다고 답한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낮으면 그 반대다.
반면에 대기업의 자금사정실적BSI는 지난해 12월 92에서 올해 1월 94로 오히려 호전됐다. 중소기업보다는 12포인트나 높다. 대기업의 자금사정실적BSI는 2011년 9월 88에서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올해는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라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를 위해 대출 문턱을 높일 가능성이 커 중소기업의 돈줄은 더욱 메마를 전망이다.
올 1분기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0으로 전분기보다 9포인트 떨어졌다. 대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가 3에서 6으로 오른 것과 대비된다.
중소기업중앙회의 지난해 12월 경기전망조사를 보면 중소제조업의 34.2%가 올해 1월 자금 사정이 나빠질 것으로 내다봤다. 좋아진다는 응답은 8.2%에 불과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임희정 연구위원은 "경제가 좋을 때는 문제가 없지만 안 좋을 때는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을 줄이려 한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정작 돈이 필요할 때 대출이 막혀 힘든 상황을 맞을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소기업의 돈줄이 막히면 소비와 투자가 위축돼 경제성장을 제약하는 악순환이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