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서민경제 안정화를 위해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2년 지방물가 안정화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올해 생활물가 안정에 모든 정책을 집중시킬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공공요금 품목별로 관리책임관을 운영, 공공요금 안정 기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키로 했다.
경기도에서 결정하는 민원서류 수수료와 물향기 수목원을 비롯한 도내 13개 도립 휴양림과 박물관 입장료와, 여성비전센터 교육비, 영유아 보육료 등 총 20종의 행정서비스 요금을 동결하기로 했다.
또 이·미용료, 세탁료 등 개인서비스요금 안정화를 위해서는 주부물가모니터요원이 조사한 체감물가와 직능단체·소비자단체 토론회 등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의견들을 토대로 우수시책을 발굴하고 물가안정에 기여해 온 모범업소를 237개소에서 700여개소로 확대, 가격안정 분위기를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도 관계자는 “물가합동지도·물가안정 캠페인을 벌이는 등 상시적으로 물가동향을 점검해,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