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마이니치신문 보도에 의하면 아사히가와대(旭川大)와 홋카이도대(北海道大) 연구팀은 당뇨병이 없는 35∼55세의 남녀 지방공무원 3570명을 선정해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수면 시간과 만족도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4년간 당뇨병에 걸린 121명 가운데 하루 평균 수면이 5시간 이하인 사람이 7시간 이상인 이에 비해 당뇨에 걸릴 위험이 5.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면 부족을 느끼는 사람이 그렇지않은 이에 비해 당뇨병 발병이 6.8배 많았다. 밤에 자주 깬다고 응답한 사람은 그렇지않은 사람에 비해 당뇨병 발병률이 5배 컸다. 이번 조사는 부모와 형제자매 중 당뇨병 환자가 없을 경우에 한정했다. 평균 수면 시간이 5시간 이하인 사람은 장시간 근로나 교대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에 참여한 아사히가와대의 기타 도시코(喜多歲子) 조교수(지역간호학)는 “적절하고 충분한 수면을 보장받을 수 있는 직장 환경과 이를 사회 전체가 용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 당뇨병 전문지(월간)인 다이어비티스 케어(Diabetes Care)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