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건과 관련해 정부 부처 압수수색은 처음으로, 외교부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은 전례가 없는 것이다.
검찰은 이날 외교부 청사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김은석 전 에너지자원대사 사무실, 대변인실 등 공보담당 사무실에서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각종 서류를 확보했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외교부 청사 6, 7, 14층이 포함됐으며 김 전 대사의 집무실인 에너지자원대사실을 비롯해 아프리카중동국, 국제경제국, 외교정보시스템실 등이 포함됐다.
검찰이 단행한 압수수색은 김 대사-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오덕균 CNK 대표-박영준 전 차관 등 이른바 '다이아몬드 게이트 4인방'으로 거론되는 실세와 윗선 등에 대한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은 이르면 이번주부터 김 전 대사와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 등 사건 핵심 관련자들에 대한 소환조사에 들어갈 방침이다.
검찰은 특히 정권 실세에 대한 헐값 매각 의혹이 제기된 CNK 신주인수권과 관련해, 실제 매매가 이뤄진 59개 계좌를 확보해 실소유주를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검찰 등 법조계에서는 "박 전 차관이 이번 수사의 탄착점"이라는 말들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결국 검찰이 김 전 대사에 대한 수사를 본격화하면서 그와 함께 수사선상에 올라있는 조 전 실장, 박 전 차관 등이 칼날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것도 이런 연유에서다.
한편 CNK 사건후 외교부와 총리실은 해외자원외교에서 한 발 물러서는 입장으로 바뀌었다
외교부가 CNK 사건으로 문제점이 드러난 대사실(大使室)의 직제상 위치를 '장관 직속'에서 '차관 산하'로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직제 변경은 사실상 장관이 직접 대사들의 업무를 챙기기 어려운 상황에서 두 대사실이 과도한 자율성을 갖고 업무를 추진하다 보니 적지 않은 문제가 생기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총리실 역시 CNK사건으로 감사원 조치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사실상 자원외교에서 손을 떼기로 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자원외교만을 목적으로 총리실에서 차관급 이상 고위 순방단을 조직해 해외로 움직이는 일은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