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30일 대신증권 등 19개 주요 증권사에 공문을 보내, 테마주 정보제공 출처 및 선행매매 여부 등 20개 항목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다. 특별한 이유없이 주가가 급등락하는 테마주가 시장을 교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테마주에 대한 기획조사를 강화한다는 취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 12일 테마주특별조사반이 꾸려진 이후 테마주에 대한 제반사항을 점검하는 초기단계”라며 “테마주가 어떻게 형성돼 어떤 과정을 거쳐 각 증권사 HTS로 보내지는지, 증권사 내부통제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등 테마주를 둘러싼 여러 정보 흐름에 대한 사실 점검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테마주 이상 열풍을 근절하기 위해 금감원이 나서 증권사들에 테마주 관련 사항을 다각도로 분석해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겠다는 것이다. 금감원이 증권사를 상대로 요구한 사항에는 테마주정보를 제공받은 출처, 제공받은 테마주 내역, 제공받은 테마주를 전파한 내역, 테마주 추천 절차, 임직원 선행매매 내역 및 통제방법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됐다.
이번 금감원으로부터 자료제출을 요구받은 회사는 대신증권, 비엔피파리바증권, 유진투자증권, 신영증권, 유화증권, 흥국증권, CLSA코리아증권, KIDB채권중개, 골드만삭스증권, 메릴린치증권, 바클레이즈캐피탈증권, 알비에스아시아증권, 크레디트스위스증권, 맥쿼리증권,제이피모간증권, 토러스투자증권, 노무라금융투자, 다이와증권캐피탈마켓코리아, 한국스탠다드차타드증권 등 국내외 19곳 금융사다.
자료를 요구받은 곳은 오는 2월2일까지 답변을 제출해야 한다. 금감원은 이외 대형증권사들에 대해선 이미 지난 구정 이전에 자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