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의 서민차별 개선하자-㊦> 서민 전용 자산관리 육성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1-31 15: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성우 기자) 증권사들이 저소득층 가계에 대해 소홀한 것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서민 자산관리 전담 금융회사를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주가 폭락으로 깡통계좌가 속출하는 상황에서 별다른 관리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현실에서 이를 개선하려면 기존 증권사들에게만 '서민금융 보호'를 기대할 수는 없다는 이유에서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자산 1억원 이상의 고액 자산가는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전 10만명에서 작년 3월 18만명으로 급증했다. 이런 속도라면 올해 말에는 25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저금리에 주가가 급등하면서 고액 자산가도 덩달아 급증한 것이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90년대 이후 기업 간 수익성 격차가 확대되고 성과급 체계가 정착되면서 고소득 연봉자가 급증했다”면서 “외환위기 이후 채권 수익률이 급증하면서 채권을 실제 구입할 수 있는 거액 자산가들의 재산이 급증했고 주식투자 활성화와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새로운 부유층이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위원은 “문제는 초저금리 시대와 함께 수익성 확보가 시급한 금융기관들이 부유층 집중공략에 나서면서 소액 자산관리에 갈수록 소홀해 지고 있다는 점” 이라고 지적했다.

기존 프라이빗뱅커(PB) 영업은 현금자산 5억원 이상 고객이 대상이지만 새로운 VVIP 마케팅은 자산이 최소 30억원 이상인 초부유층이 핵심 표적이다. 거래 규모가 큰 부유층에게는 자산관리는 물론 부동산, 세무, 법률, 2세 관리까지 제공된다. 각 분야 전문가들이 투자뿐 아니라 부동산, 상속, 증여, 자녀교육, 인맥 관리 등 온갖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그 수수료는 `0원‘이다.

하지만 거래규모가 작은 저소득층 가계에 대해서는 이들 만큼의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증권사들의 엉터리 보고서와 장밋빛 전망만 믿고 투자한 소액투자자들은 주가 폭락으로 깡통계좌가 속출하는 등 위기에도 별다른 관리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증권사들이 상품 판매에만 열을 올리고 정작 서민들 대상의 관리 서비스는 소홀한 게 사실”이라며 “위기가 닥치면 개인투자자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야 하고, 그러다 보니 막대한 손해를 보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산층과 서민 자산관리 전담 금융기관 육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박덕배 연구위원은 “금융자산 양극화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중·저소득층 자산관리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해 저소득층에게 낮은 비용으로 부채관리, 자산관리 등의 기초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영국은 공적 기관인 금융자문센터를 통해 금융 관련 자문을 해주거나 적합한 금융상품을 소개하고 있다.

이상건 미래에셋 투자교육연구소 상무는 “저소득층 금융지원이 채무조정과 채무관리에서 머무르지 말고 생계지원과 재무 설계로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증권사들은 고액자산가를 잡기 위한 상품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최근 최소 5억원은 있어야만 가입 가능한 헤지펀드와 최소 100만원 이상은 투자해야 하는 유전개발펀드 모두 고액자산가들을 위한 상품이다. 하지만 서민 등을 위한 상품은 좀처럼 나오지 않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