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하철·버스 요금이 시의회 의견청취와 서울시 물가대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25일 오전 4시부터 150원 인상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인상에 따라 지하철과 시내버스는 900원에서 1050원으로, 광역버스는 1700원에서 1850원으로 오른다. 순환버스는 700원에서 850원으로, 마을버스는 600원에서 750원으로 인상된다.
어린이와 청소년 요금은 동결된다.
시는 현재 대중교통 운영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요금인상 필요액은 388원이나 시민부담을 최소화하는 수준에서 150원을 불가피하게 인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매년 오르는 연료비 등 각종 물가 상승과 무임수송에 따른 손실 비용으로 5년간 누적된 적자가 3조5089억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요금 조정을 통해 운영기관의 경영혁신에 박차를 가하는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시는 연간 9115억원의 적자 중 운영기관 경영혁신을 통해 1021억원, 요금조정을 통해 3126억원을 각각 없애고 나머지 4968억원을 시 재정으로 부담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서울메트로(1~4호선 운영)와 도시철도공사(5~8호선 운영)가 '지하철공동운영협의회'를 구성, 물품 공동구매나 기술공유 등 비용절감을 위한 공동협력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시는 지하철 양 공사가 경영개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2급 이상 간부의 경영성과 상여금을 전액 반납하도록 하거나 조직 축소로 임원 수를 줄이는 등 이번 요금조정 성과와 관련한 금전적 보상이나 책임을 엄격하게 물을 방침이다.
또 버스회사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 방지를 위해 대표이사의 인건비 한도 금액을 설정, 실지급액을 축소하고 다른 원가요소에서 전용하는 행위를 방지하고자 정액 지급에서 한도 내 실비 지급방식으로 변경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요금 조정의 결과를 안전시설 개선 및 서비스 확대, 지하철·버스업체 경영혁신을 통한 부대수입 증대와 서비스질 향상, 거버넌스 확대를 통한 시민 중심 대중교통서비스 실현 등 시민혜택으로 돌려준다는 방침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무임 손실, 노후 시설 재투자 등에 대해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만큼 다른 시도나 수도권 관계기관과 함께 지원받는 방안 등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