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걸핏하면 '삼성'…피곤한 1등 보험家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02 15: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삼성그룹 금융계열사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험업계 안팎의 곱지 않은 시선에 만성피로증후군을 앓고 있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 임직원들은 지난달 31일 2011역년(CY2011) 초과이익분배금(PS)을 지급받았다.

PS는 삼성그룹이 매년 초 목표이익을 달성한 계열사의 초과이익 20% 한도 내에서 개인 연봉의 최대 50%를 직원들에게 나눠주는 성과급이다.

두 보험사의 PS 비율은 부(部), 실(室) 등 단위 사업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연봉의 약 4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회사의 성과급 잔치 소식이 전해지자 곳곳에서 금융권 탐욕논란이 고개를 내밀었다.

PS는 직원들이 땀 흘려 일해 벌어들인 초과이익을 직급과 기여도에 맞게 배분한 보너스다.

그러나 일부 호사가들은 삼성그룹과 두 보험사가 장기 불황의 여파로 급증하는 서민 가계부채, 중소기업의 잇따른 구조조정 문제를 외면하고 탐욕본색을 드러낸 것처럼 몰아세웠다.

다른 대기업의 주식 배당이나 임금 인상에는 침묵하다가도 유독 삼성가(家)의 행보만 못 마땅해 하는 마녀사냥이다.

성과급 지급 시기가 다를 뿐 다른 대형 생보사, 손보사들도 2011회계연도(FY2011) 결산이 마무리되는 올 4월 이후 돈을 푼다.

삼성생명의 경우 지난해 10월 개인보험상품 예정이율과 공시이율을 담합한 16개 생보사 중 12개사가 과징금을 부과 받았을 때에도 전형적인 삼성기피증에 시달렸다.

삼성생명, 대한생명, 교보생명 등 생보사 빅(Big)3 가운데 리니언시(담합 자진신고자 감면제)를 통해 과징금을 100% 면제 받은 곳은 교보생명이다.

하지만 삼성생명은 대중들의 인식 속에 각인된 ‘1등 삼성’ 이미지 때문에 리니언시 참여사 중 가장 많은 공격을 받아야 했다.

물론 각 업계 리딩컴퍼니(Leading company)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막강한 영향력이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부정을 저지른다면 비판받아 마땅하다.

그렇지만 삼성이라는 브랜드의 부정적 측면만을 지나치게 부각시켜 기업과 직원들을 문제 삼는 일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